로고

[사설] 가짜뉴스 90%가 정치권·SNS서 생산, 사회적 검증 장치 마련할 때

김인옥 기자 | 기사입력 2023/02/25 [22:39]

[사설] 가짜뉴스 90%가 정치권·SNS서 생산, 사회적 검증 장치 마련할 때

김인옥 기자 | 입력 : 2023/02/25 [22:39]

 


사단법인 바른언론시민행동 오정근 이사장이 22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에서 가짜뉴스와 자유민주주의의 위기를 주제로 열린 사단법인 바른언론시민행동 창립기념 심포지엄에서 창립선언문을 낭독하고 있다

정치권의 거짓말과 정부의 조작된 통계·발표, 소셜미디어(SNS)의 허위 정보 등 가짜 뉴스를 감시·검증하기 위한 시민단체가 출범했다. 바른언론시민행동은 교수·언론인·전문가 등이 참여한 가운데 출범식을 갖고 “가짜 뉴스가 국민 의식을 해체·파괴해 자유민주주의를 위협하고 있다”면서 “불편부당하게 가짜 뉴스를 감시하고 과학적·객관적 방식으로 진실 여부를 검증하겠다”고 했다.

지금 우리 사회에 범람하는 가짜 뉴스는 정치 양극화와 맞물려 국민을 분열시키고 사회를 혼란에 빠뜨린다. 지난 대선 동안 서울대 SNU 팩트체크에서 가짜 뉴스로 판명된 115건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가짜 뉴스 생산자의 77.5%가 정치인·정당·후보 진영이었고, SNS·유튜브·인터넷 등이 10.8%였다. 언론사는 1.7%였다. 전체 가짜 뉴스의 88.3%가 정치권과 인터넷 소셜미디어에서 생산·유포된 것이다.

사람들은 자기 생각과 일치하는 정보는 쉽게 받아들이고 생각과 다른 정보는 그것이 사실이더라도 부정하는 성향이 있다. 청담동 술자리 논란도 당사자가 자신이 거짓말을 했다고 인정해 허위로 드러났지만 여전히 진짜로 여기는 사람이 많다. 대선 때 대장동 사건이 윤석열 게이트라고 답한 사람이 38%에 달했다.

가짜 뉴스로 정치인은 정치적 이득을 보고 일부 유튜버는 돈을 벌고 있다. 광우병과 천안함, 세월호, 사드 전자파 괴담은 모두 정략적 목적의 가짜 뉴스이지만 아무도 책임지지 않았다. 청담동 술자리 주장을 한 김의겸 의원은 곧바로 후원금 상한을 채웠고, 보도한 유튜브 매체는 하루 2000만원 넘는 수입을 올렸다. 김어준씨는 ‘세월호 고의 침몰설’과 ‘생태탕’ 등 가짜 뉴스로 큰돈을 벌었다. 이재명 대표 소년원 입소설 등 국민의힘 주변에서 돌아다닌 가짜 뉴스도 많다.

가짜 뉴스 세상에서 승자는 없다. 누구나 피해자가 될 수 있다. 시민단체와 언론, 학계 등이 가짜 뉴스를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면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 도배방지 이미지

칼럼/사설 많이 본 기사